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와 부작용

by §★◁◑ 2022. 2. 4.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 전파 방지를 위한 오래되고 전통적인 비의료적 방역 방법이다. 과거 전염병이 나타났을때부터 시행되던 방법으로 감염병 확산을 방지 시키기위해서 사람간의 접촉을 줄인것이다. 현재는 코로나 19로 인해 지역과 집단에 따라서 차별화된 방역 지침이 실시되어지고 1단계~5단계로 나뉘어진다.

 

사회적거리두기는 간염병 확산을 방지시켜주는 효과를 주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기도한다.

 

사회적 거리두기란?

감염병 확산을 억제시켜주는 예방법이며 '물리적 거리두기'라고도 말하낟. 마스크 착용이나 손소득과는 다르게 사람 간의 접촉 기회 자체를 줄여서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는 근본적인 예방법이다.

 

 

시행법

직접접촉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때문에 회사에서는 재택근무제를 실시하며 학교는 휴교를 하며 종교의 경우 온라인으로 예베를 진행을 하게된다. 

 

지표에 따라 1단계~5단계로 나뉘어지며 단계별로 시행법이 달라진다.

 

효과

코로나바이러스나 독감과 같이 직접적인 접촉이나 간접접촉을 통한 감염성이 전염병으로부터 높은 방역 효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곤충이나 동물을 매개로한 감염병, 말라리아와 같은 전염병으로부터는 방역효과가 떨어진다고 한다.

 

 

부작용

코로나19과 같은 호흡기 전염병으로부터 큰 방역효과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접촉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사람들의 심리 상태에는 부정적 영향이 생겨서 스트레스, 우울증같은 심리적 질환들을 초래하는 결과를 일으킬수도 있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는 소비 활동의 축소와 지속되는 영업활동의 제한으로 소상공인의 사업에 피해를 주게된다. 이런한 상태의 지속은 경기 침체를 불러일으키고 소상공인은 고용을 줄이고 실업자가 생기며 자연스럽게 소비 활동의 축소로 이어져서 경기불황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댓글